카테고리 없음

전세사기 막는 법? 허그 전세 보증보험료 따져봤어요

 

“요즘 전세 계약은 집보다 보험부터 알아봐야 한대요.”

최근 전셋집을 알아보던 제 친구는 계약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습니다.
보증금 2억 7천만 원, 역세권, 구축 빌라. 조건은 괜찮았지만, 왠지 불안했대요.
부동산에서는 “안전한 집이니 걱정 말라” 했지만,
친구는 결국 ‘허그 전세보증보험’을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저와 함께 하나씩 따져보기 시작했죠.
보험료가 얼마인지, 어떻게 가입하는지, 진짜 필요한지까지.

허그 전세 보증보험료

1. 허그 전세 보증보험이란?

내 보증금을 국가가 지켜주는 장치

허그(HUG,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운영하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은, 세입자가 계약 기간이 끝났는데도 보증금을 못 돌려받을 경우 대신 돌려주는 국가 보증 제도예요. 쉽게 말해, 집주인이 잠적하거나 경매로 넘어가도, 보증보험만 가입돼 있다면 HUG가 보증금을 세입자에게 먼저 지급합니다.

 

2. 전세 보증보험료는 얼마일까?

보증금 2억 7천 기준, 약 25~30만 원 예상

가장 궁금한 건 바로 보험료였죠.
HUG 기준 보험료율은 보증금의 약 0.1~0.128% 수준이에요.
정확한 금액은 아래 예시를 참고하세요.

보증금예상 보험료 (1년 기준)
2억 원 약 20만 원
2억 5천 약 25만 원
3억 원 약 30만 원
 

물론 이건 단순 계산이고, 집 상태, 임대인의 신용, 대출 여부에 따라 가입 가능 여부나 보험료는 달라질 수 있어요.

 

3. 가입 조건 꼼꼼히 확인해야 함

모든 집이 가능한 건 아님

이 부분에서 친구가 깜짝 놀랐어요.
모든 전셋집이 보증보험이 되는 건 아니기 때문이죠.

 

가입 불가 조건 예시:

  • 집주인이 세금 체납 중
  • 근저당 등 담보 대출이 과다한 집
  • 전입신고 후 1개월 이상 경과했거나
  • 전세금이 집 시세보다 지나치게 높음

이런 경우엔 HUG에서 보증 거절이 나올 수 있습니다. 계약 전에 꼭 보증가입 가능 여부를 조회해야 해요. (HUG 홈페이지 또는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확인 가능)

HUG 전세 보증보험 가입, 진짜 필요한가? 절차부터 주의사항까지 완전 정리

4. 가입 절차는 어떻게?

잔금 치르기 전까지 완료해야 안전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가장 중요한 건 **‘타이밍’**이에요.

  • 계약 후 30일 이내
  • 잔금 지급 전까지 가입 신청해야 함
  • 보통은 입주 전에 완료하는 게 가장 안전

HUG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비대면 신청도 가능하고, 은행·공인중개사 등 위탁기관에서도 대행해줘요.

 

5. 보증보험 안 들면 어떻게 되나?

전세사기, 한순간입니다

사실 친구는 처음엔 “보험료도 돈인데 굳이?”라는 생각이었어요.
하지만 제가 보여준 뉴스 기사 몇 개를 보고 마음이 바뀌었죠.

수억 보증금이 한순간에 사라진 사례들,
대출 많은 깡통주택,
계약금 날리고 전세금 못 돌려받은 임차인들

결국 친구는 보험료 27만 원을 내고 가입했습니다.
그리고 계약서 특약란에 “보증보험 가입 필수” 문구도 넣었어요.

서울보증보험 전세자금대출 한도, 소득별 최대 얼마까지 가능할까?

아파트 전세자금대출 금리, 0.1% 차이로 몇십만 원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허그 전세 보증보험료는 보험료가 아니라 ‘안심비용’입니다

  • 전세사기 예방의 가장 강력한 수단
  • 보험료는 보증금의 약 0.1~0.13% 수준
  • 가입 가능한 집인지 미리 조회 필수
  • 계약 후 30일 이내 + 잔금 전 가입이 안전
  • 보험료는 수십만 원, 보증금은 수천만 원

 

불안한 마음으로 계약서에 도장 찍지 마세요. 보증보험료 한 번 계산해보고, 진짜 안전한 전세인지 꼭 확인하세요.

오늘 추천글 베스트

블로그 내에서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입니다.